[리눅스마스터 1급] 6. 주변장치 관리
·
Certification/리눅스마스터 1급
0. 주변 장치 정보 확인[root@c47bd92e06fb proc]# ls /proc1 cgroups device-tree filesystems kallsyms kpagecount modules scsi sys uptime28 cmdline devices fs kcore kpageflags mounts self sysrq-trigger version28537 config.gz diskstats interrupts key-users loadavg net slabinfo sysvipc vmallocinfo8 consoles docker iomem keys locks pa..
[리눅스마스터 1급] 5. 장치의 설치 및 관리
·
Certification/리눅스마스터 1급
커널 설치 및 관리0. 커널 정보 확인$ uname -r>> 5.14.0-503.11.1.el9_5.aarch64uname은 system information을 출력해주는 명령어로 소개되어 있다. -r 옵션 이외에도 다양한 옵션이 존재하기 때문에 --help를 이용해서 결과를 한번씩 확인해 보는것을 추천한다. 1. 커널 파일 다운로드 (생략)2. 컴파일 도구 설치 (생략)해당 내용들은 커널보다는 SW 설치 색션에 더 가까워서 해당 목적으로 출제되지 않는 모양이다. URL제시 하면 문제가 너저분해지고, 컴파일 필요 패키지를 전부 외운다는것이 무리에 가까운 일이라고 판정 한 듯 하다. (확실하진 않다.) 3. 클린 타겟make clean커널 환경설정을 제외한 파일을 제거한다.약make mrproper커널..
리눅스마스터 1급
·
Certification/리눅스마스터 1급
혼잣말개발자로써 내 목표는 올라운더고 이런 가치를 믿는다. 그래서 기나긴 취준 생활을 보내기 보다 경험의 폭이 넓은 스타트업에 뛰어들었다. 20개월간 스타트업에서 넓은 영역의 개발을 경험하는 중, 서버를 컨트롤 함에 있어 리눅스 사용에 대한 부족함을 많이 느꼈었다. 더군다나 보안에 관심이 많아서 CTF를 취미(?)에 가깝게 겸하고 있었어서 이참에 서버 설정에 대한 디테일들을 챙기면서 CTF에 좀 더 재미를 붙이면 너무 좋을 것 같아서 이참에 자격증을 취득하기로 마음을 먹었다. 사실 이 시점은 필기에 합격을 한 상태이다. 필기를 준비할 때 같이 시리즈로 시작을 했으면 좋았겠지만, 하루하루 준비하기 바빴던것 같다. 필기는 정말 암기의 영역이기에 "정리 - 암기 - 메타인지"의 무한 반복이였던 것 같다. 필기..
cron이 안보여요
·
Diary/개발
예전에 테스트로 Cron을 하나 등록해서 썻었는데 이걸 지우려니까 도저히 찾아지지가 않았다. 이렇게 사람 미치게 지워도 생기고 Cron이 돌고 있단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크론탭 리스트를 확인하여도 없다...이게 뭘까 싶어 일단 fs_usage로 뭘로 호출되서 만드는건지 크론이 맞긴 한걸까라는 의심부터 출발! sudo fs_usage > fs_usage.loggrep cron_test.log fs_usage.log우선 fs_usage로 log를 찍어놓고 grep으로 한번 찾아봤다 이 만큼이 1분마다 반복된다 Automator에는 해당되는게 없기에 너무나 확실하게도 cron이다.도대체 뭘까.. 이 뒤로 삽질을 왕창했다.- Spotlight의 Indexing 과정 중 cron script를 읽을 가능성이..
Mac에서 SSL 인증하기
·
Server/DevOps
AWS Route 53을 이용해 도메인을 사용하고 있다.문제는 ACM으로 AWS외부의 자체 구축 서버에 인증서 적용이 안된다는 것이다.(혹시 방법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ㅠㅠ) 그래서 결국 자체적으로 SSL 인증을 하는 형태로 구축해야 되기에 Mac에서 SSL 인증하는 방법을 포스팅 해볼까 한다. 외부아이피 확인우선 https가 아닌 http로 서버에 접근을 가능하게 먼저 설정을 하고 SSL를 적용할 것이다. Route 53 레코드 생성이제 AWS Route 53 > 도메인 선택 > 레코드 생성을 누른다.(다른 도메인 서비스에서도 마찬가지로 A 타입 레코드를 생성하면 된다.)레코드 이름과 값에 외부 아이피를 설정하고 레코드를 생성하면 된다. Nginx 설치공유기 설정 전, Nginx를 설치하려고 ..
블로그 첫 개시
·
Diary/개발
원래는 AWS EC2에 Vue3 기반으로 호스팅 하려고 했으나 AWS요금에 눈물이 찔끔 나와버렸다. 입사하고나서 AWS Arcitecture 구축을 열심히 해보겠다며 프리티어 기간동안 도메인이랑(+ EIP) KMS, ELB 값만 내고 써왔는데 프리티어 끝나버리니 거의 통신비 맞먹는 금액이 나와버렸다... 그렇게 비싼 비용은 아니지만 달에 6만원은 조금 아까웠다... EC2도 쥐똥같은거 쓰는데.. ㅡㅡ그래서 남아있는 AWS 서비스를 다 끊어내고 Route 53에 있는 도메인을 티스토리에 연결해서 쓸 생각이다. 매번 vue로 블로그 만들고 글써야지 글써야지 하는데 너무 장황해져 버려서 엄두가 안났는데 차라리 잘된 것 같다.왜 사람들이 직접 프론트 짜서 블로그 만드는게 광기라고 하는지 알겠더라 ㅋㅋㅋ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