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TCP/IP
·
Basic/Network
TCP / IPTCP / IP vs OSI 7 LayerOSI 7 Layer는 통신 표준이라는 말을 사용하고, TCP/IP는 산업 표준이라는 말을 사용한다. 왜 OSI가 더 정교하게 분류 해 놓았는데 산업에서는 TCP/IP를 사용하는지에 대한 의문이 생긴다. 여기에는 확신할 순 없지만 복합적인 배경이 있었다고 생각한다. TCP/IP가 1970년대 미국 국방부(DARPA)의 ARPANET 프로젝트로 개발되었다. 반면 OSI는 1980년대 국제표준화기구(ISO) 주도로 이론적이고 이상적인 모듈화를 위해 설계 되었다. 여기서 많은 공학도들은 감을 잡았을 것이다. 이론과 이상을 쫓게되면 실제 구현과 적용에 대해서 복잡도가 올라가고, 결국 이익을 내어야 하는 집단에서의 복잡도 증가는 비용문제로 이어진다. 심지어 ..
2. OSI 7 Layer
·
Basic/Network
OSI (Open System Interconnection)국제표준화 기구 ISO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에서 Open 시스템간 원할한 정보 교환을 위해 7계층을 가지는 Protocol 표준을 제시하였고 이걸 ISO 7 Layer라고 부른다. 사람과 사람이 말로 소통할때도 언어를 가지고 소통을 한다. 언어에는 발음, 뜻, 문법등과 같은 항목을 약속하고 이것을 지켜 소통을 하는데 이것들을 표준화로 정해놓았다고 생각하면 수월할 것 같다. 이렇게 계층을 분류하는 이유는 위에서 언급한 상호 호환성을 증가시키기 위함도 있지만 각 계층별 역할을 명시함으로써 복잡함을 감소시키는 이유도 있다. OSI 7 Layer를 배우면서 계단과 같은 느낌을 많이 받았다. 예를들어 각 층..
1. Network
·
Basic/Network
정보 전달을 어떻게 해야할까?일상 생활에서 대화를 하기 위해서 3가지가 필요할 것이다.말하는 사람매체듣는 사람사람과 사람이 대화한다고 생각해 보자.A라는 사람이 B라는 사람에게 말을 하면, 공기라는 매개를 통해서 음파가 B라는 사람에게 정보가 전달될 것이다.이때, 송신자는 A가 될 것이고, 통신 매체는 공기, 수신자는 B가 될 것이다. 그럼 어떤 학회에서 사람과 사람이 대화하는데,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과 대화를 해야 한다고 생각해 보자.그럼 사람들은 본인의 통역가를 데리고 다닐 것이다. 하지만 모든 언어에 대한 통역가를 데리고 다닐 순 없으니, 대표적으로 영어로 통역해 주는 통역가를 데리고 다닐 것이다. 그럼 A는 A의 통역가에게 전달하고, A의 통역가는 B의 통역가에게 전달하고, B의 통역..